서울시는 2025년부터 ‘디딤씨앗통장’(아동발달지원계좌) 가입 대상을 기존 보호대상아동에서 기초생활수급가구와 차상위계층 아동으로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. 이번 확대는 저소득층 아동의 자립 지원을 강화하고, 미래에 필요한 학자금·취업비용·주거비 마련을 돕기 위한 서울시의 적극적인 정책 변화입니다.
![2025년부터 서울시 디딤씨앗통장, 기초수급·차상위 아동도 가입 가능! [대상과 신청방법]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목차
디딤씨앗통장이란?
‘디딤씨앗통장’은 취약계층 아동이 성인이 된 후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칭 지원(1:2 비율)하는 자산형성 사업입니다.
- 저축 방식: 아동 본인 또는 후원자가 월 최대 10만 원을 저축하면, 정부가 최대 20만 원을 추가 적립(총 월 30만 원 적립 가능).
- 만기 금액 예시: 매달 5만 원 저축 시 약 3,000만 원 적립 가능(본인 1,000만 원 + 정부 매칭 2,000만 원).
- 사용 용도:
- 만 18세 이후: 학자금, 취업훈련비, 주거마련 등 자립에 필요한 용도로 사용.
- 만 24세 이후: 사용 제한 없음.
2025년부터 달라지는 점
기존 (2024년) | 확대 (2025년) |
---|---|
보호대상아동만 신규 가입 가능 | 기초생활수급가구·차상위계층 아동 포함 |
약 3,207명 지원 | 약 44,682명 지원 예정 |
예산 약 37억 원 | 예산 약 276억 원 |
![2025년부터 서울시 디딤씨앗통장, 기초수급·차상위 아동도 가입 가능! [대상과 신청방법]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지원 대상
만 18세 미만 아동 중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가입 가능:
- 보호대상아동:
- 양육시설, 공동생활가정, 가정위탁 보호 아동.
- 장애인 생활시설 또는 소년소녀가정 아동.
- 기초생활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아동:
-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 가구.
-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정.
※ 단, 서울시 꿈나래통장 가입자는 해지 후 가입 가능.
신청 방법 및 절차
신청 기간
- 온라인 신청: 2025년 1월 3일부터.
- 방문 신청: 2025년 1월 6일부터.
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
- 복지로 누리집에 접속 → 신청.
- 방문 신청:
-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접수.

신청 절차
- 신청: 복지로 또는 동주민센터 방문.
- 심사·통장 개설: 관할 동주민센터 및 구청 심사 후 신한은행에서 통장 개설.
- 저축 시작: 아동 또는 후원자가 일정 금액 저축.
- 매칭금 지원: 정부에서 1:2 비율로 매칭 지원.
유의 사항
- 연초 대규모 가입이 예상되므로 통장 발급까지 최대 3주 소요.
-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만기 전 조기 인출 가능.
문의 및 정보 확인
- 복지로 누리집: www.bokjiro.go.kr
- 문의 전화: 1566-0313 또는 관할 동주민센터.
서울시는 이번 확대 정책을 통해 약 41,000명 이상의 취약계층 아동이 자립 준비를 위한 종잣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![2025년부터 서울시 디딤씨앗통장, 기초수급·차상위 아동도 가입 가능! [대상과 신청방법]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사진출처 : 서울시 홈페이지
산재근로자 자녀양육비 해결! 생활안정자금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과 혜택 꿀팁[2025년 시행]
2025년부터 산재근로자 생활안정자금에 자녀양육비 융자가 새롭게 포함되었습니다. 이는 자녀를 양육하는 산재근로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정책입니다. 자녀양육비 지
richinsighthub.com
최대 1,000만 원! 자녀양육비 생활안정자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
근로복지공단의 자녀양육비 생활안정자금 융자는 저소득 근로자의 자녀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입니다. 아래에서 신청 방법, 기한, 대상 등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. 자
richinsighthub.com
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 모바일 발급 방법 준비물
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는 직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가 자신의 건강보험 자격 상태를 확인하거나 증빙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. 이 문서를 인터넷에서 발급받는 방법은 간단하며, 다음
richinsighthub.com
'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설 명절 자금 신청 방법과 혜택, 지원 규모, 대상 39조 원 투입 (0) | 2025.01.18 |
---|---|
2025년 생활안전자금 소액생계비 신청 방법 및 조건과 금리 (0) | 2025.01.10 |
최대 1,000만 원! 자녀양육비 생활안정자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5.01.08 |
부산시, 2025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: 달라진 점과 신청 방법 (0) | 2025.01.02 |
연말정산 자기차량 운전보조금 소득 공제: 비과세 혜택과 세액 절감 전략 (0) | 2024.12.24 |